생각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 것인가

작성자 빈
출간일 2004-04-13

1. 동양식서양식 사고? 동양인과 서양인?

 누군가가 동서양 사람들의 사고, 가치관 차이에 대해 간단히 말해보라고 한다면 나를 포함한 다수의 사람들은 서양인들은 개방적이고 자유로우며 개인주의적인 반면 동양인들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이고 공동체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대답할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도 그렇다. 호주사람과 교제중인  친구에게 들은 말인데, 언어장벽은 둘째치고 이러한 사고방식과 가치관 차이 때문에 충돌하는 일이 잦다고 했다.  우리는 모두 같은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사이에서 이러한 차이들이 생겨난 것일까? 동양인과 서양인이라는 인종의 차이일까 아니면 교육, 문화  주변 환경의 차이일까?  책은 동양과 서양의 근본적 사고의 차이의 근원에 대해 역사적 배경을 기반으로 고찰하고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밝혀낸다.

 

 

2. 2500  전통의 영향이 지금까지!

 고대 그리스와 중국을 비교해보면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 사회 구조, 철학과 문명 등에 있어서 명확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고 한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자신의 삶을 통제할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고 ‘본인이 아무런 제약이 없는 상태에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탁월성을 추구하는  행복으로 생각했다. 또한 과학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도 관찰을 통해 ‘원리 발견하려고 했던 것도 그리스인뿐이라고 한다.

 반면 고대 중국인들은 개인의 자율성보다 조화로운 인간관계가 중요했다. 특정 집단에 소속된 구성원으로서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했고, 그들에게 행복은 ‘화목한 인간관계를 맺고 평범하게 사는것이었다. 사고하는 데에 있어서도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직선적 사고와 이분법적 사고를 했던 반면 고대 중국인들은 ‘조화 ‘일치 중시했다.

  외에 우주나 사물을 보는 관점에 있어서도 극명한 대조를 보였고 이러한 특징들이 각각 현대의 서양 사람들의 사고방식에도 녹아있다는 점이 매우 재미있는 부분이다. 다양한 국가의 대학()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추론능력, 사물이나 단어 분류능력, 자녀를 교육할  부모들이 사용하는 언어나 방법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   결과, 고대 그리스, 중국의 가치관이나 사고방식이 현대를 살고있는 자들에게서도 나타난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3. 결국 차이는 각자의 문화와 환경에서부터

 해안가에 위치했던 고대 그리스와는 달리 중국은 낮은 산들, 평탄한 농지  농업에 종사하며 촌락을 이루고 살기에 매우 적합했고 그러다보니 조화와 화목을 중시하는 규범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그리스는 사냥, 수렵, 목축, 해적  농업보다 협동을 비교적  필요로하는 생활이 적합해서 굳이 안정적 공동체가 필요 없었다. 이로부터 각각 공동체를 중시하고 어울려사는 , 전체에서 부분을 파악하고 맥락을 중시하는 동양의 사고와, 개인을 중시하고 분석적 사고를 하며 숲보다는 나무를 보는 서양의 사고의 차이가 발생했다고 한다. 이는 결국 현대에 이르러 의학의 차이, 법률의 차이, 과학의 차이, 국제관계에서의 차이  중요한 차이점들을 발생시켰다.

 

 

4. 어느 쪽이 옳을까?

 개인적으로 어느 사고방식이 옳고 그른지 판단할  없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법률, 의학 관련 전문직이나 공무원 등을 선발하는 고시문제에서 동양의 종합적인 사고보다 서양의 비판적이고 독립적인 사고를 원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겉으로 드러나진 않지만 암묵적으로는 서양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이  대단하고 위대하고 똑똑하다는 인식이 있는  같다. (똑똑한사람들이 똑똑하단 말과 동시에 싸이코패스 같다는 말을 듣는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이런 이유일까 싶다.)

 하지만 문화와 각자의 가치관, 사고들은 무엇이 우위에 있다기 보다는 서로 의지하고 부족한 점을 채워주는 각각 고유한 가치가 있는 상호 의존적인 관계라고 생각한다. 저자도 결국 동양과 서양의 의견 차이는 수렴될 것이라고 말하며 이것은 단순히 동양이 서구화 된다기보다는 사회구조와 가치관에 있어 양쪽의 것이 결합되는 상태가  것이라고 한다.

 유튜브나 sns, 워킹홀리데이,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교환학생  외국인과 접할 수단이 늘어남과 동시에 그들의 문화를 배우고 이해할 기회도 증가했다. 앞으로 그들간의 교류는  활발해질 것이고, 결국 미래에는 동양과 서양이  문화의 장점을 수용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새롭게 통합된  좋은 문화가 만들어질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조화 인문학 동양과 서양

@Copyrights EXA, Powered By IBK System.